| OSI 7 | TCP/IP | 데이터 단위 | 장비 | OSI 프로토콜 | TCP/IP 프로토콜 |
7 Layer | Application | Application | Message
|
| DHCP,DNS,FTP,HTTP,SMTP,SNMP,Telnet | DHCP,DNS,FTP,HTTP,IMAP, LDAP,BGP,RPC,RIP, SMTP,SNMP,SSH,Telnet,TLS/SSL |
6 Layer | Presentation | MiME,XDR | ||||
5 Layer | Session | NetBIOS,RTP | ||||
4 Layer | Transport | Transport | Segment | L4 라우터 | TCP,UDP,SPX | TCP,UDP |
Internet | ||||||
3 Layer | Network | Packet | 라우터 | IP,ICMP,IGMP,IPX,AppleTalk,IPsec | IP,ICMP,IGMP,IPsec | |
2 Layer | Datalink | Network Interface | Frame | 브릿지,스위치 | ATM,ARO,SLIP,L2TP,Frame Relay,PPP | ARP,L2TP,DSL,FDDI |
1 Layer | Physical | Bit | 리피터,허브 | IEEE802.3,IEEE802.11,USB,RS-232 등등 |
위의 표가 정확하다고는 단정 짓지 못하지만 그래도 깔끔하고 한눈에 보기 위해서 표를 만들어 봤다
ISO라는 국제표준 기관이 OSI 라는 것을 발표하기 이전에는 장비들이 서로 호환성이 맞지 않아 통신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래서 ISO에서 OSI 라는 표준을 발표 함으로 통신이 가능해졌다
SDU_Service Data Unit
현 계층에서 생성된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사용자 데이터
PDU_Protocol Data Unit
데이터를 특정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바로 아래 계층으로 전송하기 위해 만들어지는 프로토콜 제어 명령들과 사용자 데이터의 데이터 집합
출처: http://www.tcpipguide.com/free/t_DataEncapsulationProtocolDataUnitsPDUsandServiceDa.htm
예를 들어 설명을 해보자면 철수가 영희에게 생일 선물로 스케치북을 준비했다 그냥 주기에는 이상해서 포장을 했다
여기서 스케치북은 SDU가 되고 포장을 완료한 상태가 PDU가 된다
즉 위 계층 데이터를 SDU라 부르고 아래 계층으로 전송하기 위해 SDU 앞뒤에 Header나 Footer를 붙이면 PDU가 되는 것이다
송신측은 7계층에서 아래로 내려갈때마다 SDU를 PDU로 만드는 데이터 캡슐화_Encapsulation 과정을 거치고
수신측은 1계층에서 위로 올라갈때마다 PDU를 SDU로 만드는 de-Encapsulation과정을 거치게 된다
Physical Layer의 역할
물리적 매체를 통해 전기적 신호를 전송
Data Link Layer의 역할
신뢰성 있게 전송
Network Layer의 역할
데이터 전송과 최적의 경로 선택
Transport Layer의 역할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오류복구와 흐름제어
Session Layer의 역할
응용프로그램 사이의 접속을 설정, 유지, 종료
Presentaion Layer의 역할
데이터 표현 방식의 차이 해결
Application Layer의 역할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하위계층으로 전달 및
하위계층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전달